우리나라에서 직업 중 공무원의 인기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취업난이 심각한 가운데 스펙보다는 공정한 시험만으로 평가하고
길어진 평균수명으로 봤을 때 노후까지 안정적으로 평가받기 때문에 그러한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9급공무원종류가 무엇인지 먼저 알아보는 게 우선입니다.
2020년 공고기준으로 보여드립니다. 국가직 기준으로 나온 직렬이고 지방직 시험이라고 각 지방자치단체마다
채용도 하는데 속기직, 사회복지직, 사서직 등도 있습니다.
우선 각 직렬이 어떤 업무를 하는지 살펴보시고 자신의 성향과 맞는지 알아보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그 직렬의 자격기준의 어떤 자격증이나 경력이 필요한지도 미리 알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일반행정직은 18세이상이라는 일반적인 자격기준 이외엔 없습니다.
예전에는 상한연령제한이 있었지만 이제는 그것이 없어져서 어느 정도 사회생활하고
준비하시는 분들도 많아졌다고 합니다. 단, 경찰과 소방직렬은 아직 나이 제한이 있다고 합니다.
일반행정직은 임용후 어느 한 직렬의 일만 하는 것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부서이동을 하여
다양한 업무를 합니다. 공무원 직렬 중에 가장 인기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기술직렬은 전공분야가 있으신 분들은 그 분야를 공적인 부문에서 활용하는 것이고
일반행정직에 비해 경쟁률은 낮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9급공무원종류가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공무원은 합격 후에 퇴사하거나 이직하기가 다른 일반 직장에 비해서 쉽지 않다는 것입니다.
경쟁을 통한 시험합격, 정년보장 등의 장점이 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하지만 사람이란
자신과 맞지 않는일, 과다한 스트레스를 받으며 일을 하는 것만큼 불행한 것은 없기
때문에 맞지 안맞을지는 잘 모르지만 일단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입니다.
보통 준비기간 최소로 잡아도 6개월은 전념해야 되는 것이니 소중한 시간을 투자하기 전
꼼꼼하게 살펴보는 것은 정말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중요한 점이 있는데 2022년부터는 과목 개편된다고 합니다.
사회, 수학, 과학 과목이 폐지된다고 하니 과목준비에 있어서 신중해야 합니다.
사회, 수학, 과학 이 과목은 고교생들이 준비하기 쉽도록 몇 년 전에 생긴 과목이었는데
공무원의 업무의 전문성 확보를 위해 폐지한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고교생들의 시험응시율은 앞으로 하락할 것으로 보입니다. 대신 이 과목 덕분에
여러 직렬 동시에 준비하는 것은 어렵게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준비하실 때 2021년까지만 시험 준비를 하는 것인지 조금 더 걸릴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
판단해서 9급공무원종류 못지않게 시험과목 공부 선택도 신중히 해야 될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9급공무원 시험 준비방법에 대한 저의 의견을 덧붙이겠습니다.
일단 필수과목이 선거행정직만 제외하고 국어, 영어, 한국사입니다.
이 과목 중 영어와 국어는 쉽게 점수를 끌어올리기는 어렵습니다. 범위는 너무 광범위하고
다른 한국사와 암기과목과 병행하려면 할 수는 있겠지만 영어와 국어 기본이 안되어 있다면
어렵다고 봅니다. 어차피 공무원 시험은 상위 몇 프로만 합격하는 것으로 생각한다면
암기과목에서는 기본적으로 그 기간 열심히 준비했으면 잘 나오는 것이고
변별력이 있는 것은 국어와 영어에서 나온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국어와 영어 실력을 우선 모의시험으로 테스트해보고 기본이 안 되어 있다면
이 부분부터 집중적으로 실력을 올리시는 게 오히려 시험기간을 단축하는 길이라고 봅니다.
국어와 영어가 어느 정도 확보되면 마음에 드는 강의를 선택하셔서 강사님이 하라는 대로
해나간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의견일 뿐이고 공무원 준비하시는 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힘이 되는 상식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신만 모르는 무 실적 주유 카드 8가지 (0) | 2020.09.28 |
---|---|
레알 연회비 없는 후불 하이패스 카드 총정리 (0) | 2020.09.27 |
토퍼 매트리스 사용시 고려사항 (feat : 매트리스케어 전문가) (0) | 2020.09.22 |
발톱무좀 원인과 관리방법 (0) | 2020.09.20 |
모공 넓어지는 이유와 올바른 관리법 (0) | 2020.09.19 |